반응형
1. PER 10이하에서 매수. 단 성장하는 산업이라면 PER 20까진 봐줌. 그 이상은 투기의 영역으로 간주.
PBR은 보지않는다. 어차피 돈 잘 벌면 줄어들고 돈 못벌면 늘어남.
ROE는 되도록 10퍼 넘기는 걸로 삼.
단 사이클 산업이라 호황때는 ROE 20 막 이런데 아닐땐 ROE 6~9인 회사가 불황기에 있다면 매수.
2. 부채는 100퍼센트 이하. 단 산업에 따라 봐줄순 있음 예를 들어 리스 운용하는 항공사.
대한항공 부채가 600~800퍼쯤 되는데 저가항공사 부채가 200퍼면 양호한거지.
3. 오너 지분율이 높아야한다.
그래야 오너와 나의 이해관계가 일치함.
4. 오너리스크가 없어야한다. 오너 인성이 된놈이거나 아님 오너가 병신이여도 돌아가는 산업.
5. 마지막으로 통계든 뉴스든 성장하는 산업군이라면 매수한다.
나의 예를 들면 좆가항공. 원양참치어업.
좆가항공 티웨이의 경우 올해 상반기만 해서 전년도 전체 수익만틈 벌어버림.
원양참치어업의 경우 참치값이 1995년 이래로 꾸준히 상승중. 23년간 상승이면 하나의 추세다.
거기에 세계 인구도 느는 중
6. 차트는 10년치 5년치 봐서 저점이다 싶을때 매수
반응형
'주갤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투갤]주식시장은 간단하다. (0) | 2020.03.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