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을 하려면 기업에 대해서 분석해야 한다.
기업의 경영참여에 필요한 지분을 사고파는 것이 주식이기 때문이다.
기업 분석 중 가장 기본적인 지표 중 하나가 ROE, 자기자본이익률이다.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총액으로 나눈 지표인데, 자본으로 얼마만큼 이익을 얻었는가를 나타낸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당기순이익/자본금 × 100으로 구하면 된다.
이 퍼센트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익을 효율적으로 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업종에 따라 ROE가 낮을 수밖에 없는 곳도 있는데, 대표적인 곳이 도소매업, 유통업이다. 아무래도 마진율이 낮다보니까 자기자본이익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
반응형
'주식 > 기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퍼터 관련 정보들 수집 중 (0) | 2020.09.29 |
---|---|
MLCC(적층세라믹축전기)가 무엇일까? (0) | 2020.09.12 |
[보조지표]스토캐스틱 슬로우 (0) | 2020.08.06 |
선물옵션 등에서 보이는 괴리율이라는 게 무엇일까 (0) | 2020.04.15 |
이동평균선이란 무엇일까? (0) | 2019.04.14 |